그렇잖아도 서울 떠나기 전, 오랜 친구가 전화로 남긴 당부의 말은 "가끔 싸이에 사진 올려" 라는
것이었다. 근황이나 전하기 위해, 사진 몇 장 이따금 올려야지 싶었었는데, 통 싸이에 가보질 못
했다. 워낙 게을러서이기도 하지만 참으로 단순한 이유 중 하나는, 일단은 "로그인" 해야하는 웹
사이트는 좀처럼 가지 않게 된다는 것, 그리고 결정적으로, 웹브라우저로 익스플로러를 쓰지 않
는다는 것 때문이다.
한참동안 파이어폭스를 쓰다가 최근에는 구글크롬을 쓰는데, 이 놀라운 속도는 단연 압권인 듯하
다. 처음에는 많이들 얘기하는 것처럼 "구글크롬"에서 "구글툴바"를 사용할 수 없다는 게 결정적으
로 불편했었다. 그래도 시험삼아 며칠 써봐야지 했는데, 막상 쓰기 시작하니 이상하게 파이어폭스
로 다시 가게 되질 않는다. 구글다운 간결함은 속도와 더불어 최고의 미덕인 듯. 나는 티스토리의
새로운 '파워에디터'조차 간결함이 떨어져서 별로인 사람이라... 크롬의 심플함은 나에겐 최고다.
우스운 얘기지만, 어쩌다 미국땅에 흘러왔답시고, 익스플로러를 안 써도 된다는 게 얼마나 좋았는
지 모른다. 은행 사이트건 인터넷쇼핑 사이트건, 익스플로러가 아니어도 전연 아무 문제 없이 사용
할 수 있다는 게 정말 좋았다. 그러다 오늘 또 다른 친구의 전화를 받고 "큰 맘 먹고" 싸이월드에
사진 올리러 갔는데... 역시나 크롬에서는 사진을 올릴 수도 없고, 그래서 익스플로러 새로 열고
또 그놈의 active x 설치하고... 느리고 느린 과정을 거쳐 겨우 사진 한 장 올렸다. 그러고 나니 오랜
만에 친구들 미니홈피 다녀봐야겠다던 생각도 간 데 없이 사라진다. 페이지 전환에 심하면 5초가
넘게 걸리니.
언젠가 빵과장미님이, "티스토리에 블로그 하는 건 그냥, 맥을 쓰기 때문이에요," 라고 말씀하신 적
x에 대한 의존도가 높고 웹표준에 둔감한 걸까? 물론 거기에도 기술적/사회적인 이유가 있겠다만,
역시, 점유율 높은 브라우저에 모든 걸 맞추고 불편하면 불편한 사람이 알아서 적응해야 한다는 식의
암묵적인 논리가... 뭐 너무 뻔하고 뻔한 얘기긴 하지만.
오만년만의 싸이월드 방문이, 한편의 그 반가운 마음이, 이렇게 진부한 얘기로나 흘러버리다니. 흠.
아무튼 active x나 웹의 속도 같은 것들이 주는 피로감이란 게... 새로운 종류의 사회적 피로를 일상
적으로 야기하고 있다는 생각.
- 처음에는 "한국의 인터넷 환경"이라고 썼었는데 왠지 모르게 거슬리는 표현이어서 고쳐썼다. 하지만 "우리나라"라는 말을 나는 좀처럼 쓰지 않는 편이라 역시 왠지 좀 불편하다. (티스토리 파워에디터의 새로운 각주기능도 시험해볼 겸... 한번 언급하고 지나감) [본문으로]